중국 전기차 3대장의 한국 진출 본격 가시화 각 기업을 알아보자! (비야디, 지커, 립모터)
오늘은 본격적으로 중국의 전기차들이 한국 진출을 노리고 있는 시기라는 기사를 봐서 해당 회사들 3곳을 조사해 포스팅을 작성해보고 있습니다.
중국 전기차 3대장
BYD (비야디, Build Your Dreams)
- 현재 시가총액: 약 1조 3,000억 위안 (2023년 기준)
- CEO: 왕촨푸 (Wang Chuanfu)
- 간략한 설명: BYD(비야디)는 중국을 대표하는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로, 글로벌 EV 시장에서 큰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 주요 비즈니스 모델: 전기차, 배터리 생산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공.
- 주요 판매 차종 및 평균 가격: BYD Han (약 30,000~45,000 USD), BYD Tang (약 40,000 USD).
- 최근 3년간 실적:
- 2021년 매출: 약 2160억 위안 / 영업이익: 56억 위안 / 영업이익률: 약 2.6%
- 2022년 매출: 약 4240억 위안 / 영업이익: 151억 위안 / 영업이익률: 약 3.6%
- 2023년 매출: 약 5800억 위안 (추정치) / 영업이익: 220억 위안 (추정치) / 영업이익률: 약 3.8%
총평: 배터리와 EV 기술에서 강점을 지닌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
Zeekr(지커)
- 현재 시가총액: 약 100억 위안 (지리자동차 산하)
- CEO: 앤디 안 (Andy An)
- 간략한 설명: Zeekr(지커)는 지리자동차(Geely)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고급 EV를 제조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주요 비즈니스 모델: 고급 전기차 설계 및 판매.
- 주요 판매 차종 및 평균 가격: Zeekr 001 (약 50,000 USD), Zeekr 009 (약 70,000 USD).
- 최근 3년간 실적:
- 2021년 매출: 약 150억 위안 / 영업이익: -2억 위안 / 영업이익률: -1.3%
- 2022년 매출: 약 300억 위안 / 영업이익: 5억 위안 / 영업이익률: 약 1.7%
- 2023년 매출: 약 500억 위안 (추정치) / 영업이익: 12억 위안 (추정치) / 영업이익률: 약 2.4%
총평: 고급 전기차 시장을 타겟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프리미엄 브랜드.
Leapmotor(립모터)
- 현재 시가총액: 약 250억 위안
- CEO: 주밍하오 (Zhu Minghao)
- 간략한 설명: Leapmotor(립모터)는 합리적인 가격의 전기차를 제공하며, 대중 EV 시장을 겨냥한 신생 업체입니다.
- 주요 비즈니스 모델: 저가형 전기차 생산 및 기술 통합.
- 주요 판매 차종 및 평균 가격: Leapmotor T03 (약 10,000 USD), Leapmotor C11 (약 25,000 USD).
- 최근 3년간 실적:
- 2021년 매출: 약 12억 위안 / 영업이익: -8억 위안 / 영업이익률: -66.7%
- 2022년 매출: 약 50억 위안 / 영업이익: -6억 위안 / 영업이익률: -12.0%
- 2023년 매출: 약 80억 위안 (추정치) / 영업이익: -2억 위안 (추정치) / 영업이익률: -2.5%
총평: 가성비 높은 전기차로 대중 시장을 공략 중인 유망 기업.
'시장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지러운 이커머스 시장의 현주소는? 위메프사태, 쿠팡 흑자, 네이버의 당일배송, 알리익스프레스(이커머스 시장 분석 24년 11월 기준) (1) | 2024.11.25 |
---|---|
폴더블폰 시장 분석: 접히는 기술의 미래와 기회(삼성전자,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1) | 2024.11.16 |
댓글